본문 바로가기

세상의 이야기

사카린의 진실과 유해성

사카린의 진실과 유해성

  사카린은 1879년 미국Jhons Hopkins 대학에서 Ramsen교수와 그의 연구 파트너였던 Fahlberg에 의하여 발견되었습니다 사카린은 설탕보다 약 300배의 높은 감미도를 가지고 있으면서, 값이 저렴하여 급속히 대중화 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세계 대전을 두 차례 겪으면서 물자가 부족했던 그 당시 상황에서 사카린의 인기는 가히 상상을 초월하였습니다  이때는 아직 까지 유해성이 입증 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서도 6.25 전쟁 이후 어려웠던 시기에 사카린은 생활 필수품이 되다시피 하여 가정에서 다양하게 사용 되었습니다. 빵이나 식혜를 만들 때나, 옥수수를 찔 때, 어머니들은 어느 정도 사카린을 넣어야 좋은 단 맛이 나는지를 잘 알고 계셨습니다.

사카린 그의 진실은 1977년 캐나다 국립 보건방어연구소가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방광암을 일으킨 쥐가 발생하였다고 발표하면서 사카린은 발암성 유해 물질이라는 논란에 휩싸여 들어갔습니다. 그 당시 쥐에 투입한 사카린의 양을 사람의 기준으로 환산하면 FAO/WHO 합동 식품첨가물 전문가 위원회(JECFA)가 제시하는 일일허용섭취량(ADI)500배가 넘는 엄청난 양으로 비현실적이고 부당한 실험이었습니다.

  그 실험에 사용된 사카린의 양이 비록 과다하였다 하더라도, 발암성 여부에 대한 사실 규명은 중요하기 때문에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30여 년에 걸쳐 수 많은 학자들이 사카린에 대한 종 간의 생리적/대사적 특성과 발암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그 연구 결과 사카린은 인체에 무해하다는 판정을 받으면서 억울한 누명을 벗었습니다.

   

 

 

 

1977년 캐나다에서 수컷 쥐들에게 사카린을 먹였더니 방광암 발병률이 높아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이 실험에 사용된 사카린은 사람이 다이어트 음료를 하루에 800캔씩 마시는 양이다.

완전히 엉터리 실험이었다.

과량이었을 뿐 아니라 그 이후에 증명된 사실들은 랫드의 방광 암이 발생한 것은 DNA에 의한 것이 아니고, 소변 중에 인산칼슘이 생성되어 쥐에 방광염이 발생했었다는 것이다. 인간과는 달리 설치류에는 높은 pH와 고농도 단백질과 인산칼슘이 있는데, 과다 투여한 사카린이 이들과 결합하여 결석(크리스탈)이 만들어지고, 이 크리스탈에 의한 방광에 손상이 일어나 방광암을 만드는데, 이것은 사람과는 연관성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 용해도가 독성을 좌우한다

- 용해도의 무지가 많은 치명적 실험오류를 낳은다

단 한건의 엉터리 실험에 의하여 애매한 사카린 생산 판매업자와 정작 저 칼로리의 당이 필요한 당뇨 환자들만 피해를 보게 된 것이다.

 

 

 

1993: 세계보건기구(WHO), 사카린은 인체에 안전함을 확인했다

1998: 국제암연구소(IARC), 사카린을 발암물질에서 제외

2000: 미국 독성물질 프로그램(NTP), 사카린을 발암물질에서 제외

2001: 미국 FDA, 사카린의 안정성을 선언함

2010: 미국 환경 보호청(EPA), 사카린을 유해 물질 항목에서 제외시킴

2011: 미국 오마바 대통령 사카린을 유해한 물질항목에서 삭제한 것은 현명한 조치였다고 역설

 

사카린은 체내에서 소화되지 않은 상태로 배설이 되기 때문에 영양학적으로 아무런 효과가 없고

혈중 포도당 농도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선진국에서도 사용 빈도가 늘었고, EU나 일본에서는 과자나 아이스크림 등에도 활용되고 있다. 특히 당분 섭취가 늘어 비만·당뇨·고혈압 등 성인병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면서 칼로리가 없는 사카린의 장점이 부각되고 있다.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은 올해 초 사카린을 과학이 아닌 사람들 인식에 따라 규제를 해왔다며 잘못된 규제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하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업 환경 개선 차원에서 본격적인 사카린 해금 논의가 이뤄졌다.

 

국내 사카린유해론

 

 

1980년대 후반 새로운 합성감미료인 아스파탐(aspartame)이 개발되면서 국내 매스컴에서 사카린(saccharin)의 유해론이 불거져 나오기 시작하였으며 발암성 논란이 야기되며 소비자 단체들이 가세하여 사회적 이슈로 확대된 사건이다. 전 세계적으로 사카린은 정상적인 사용 농도와 사용 방법으로는 인체에 무해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으나, 19904월 보건복지가족부는 사카린의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위해평가 없이 사카린의 사용을 허용된 특정식품에만 사용하도록 정책변화를 고시함으로써 마무리한 사건이다.

식품 첨가물에 대한 불안을 부추기는 보도가 끊이지 않는다. 이번에는 사카린이다. 누구나 통닭과 함께 즐겨 먹는 절인 무에서 건강에 해로운 `사카린'이 검출됐다는 것이다. 통닭집의 절인 무를 먹기만 하면 곧바로 암에 걸리고, 신장 결석이 생길 것처럼 호들갑을 떨었다. 오락용으로 변질된 텔레비전 고발 프로그램이 어설픈 상식으로 선무당 노릇을 하고 있다.

 


사카린은 100여 년이 넘도록 안전하게 널리 사용되어 온 감미료입니다. 식품첨가물 중에서 사카린처럼 광범위하게 연구의 주제로 다루어진 사례는 없을 것입니다. 사카린의 유해 논란이 있은 이후, 논란의 발상지인 캐나다를 포함하여 미국, 영국, 독일, 스위스, 스웨덴, 일본 등지에서 많은 학자들이 유해성 여부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미국의 식품의약품실험연구소(Food and drug research laboratories) 소장을 지냈던 독물학자인 Bernard Oser 박사는 "인공 식품첨가물 중 사카린처럼 그렇게 많은 실험실에서, 그렇게 오랜 시간 동안, 사람을 포함한 많은 동물들을 대상으로, 심지어 대를 이어서 까지 실험을 거친 경우는 없다 그럼에도 사카린은 무해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하였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인체에 무해하다는 연구 결과를 채택하여, 1993년 일일허용섭취량을 종전보다 2배 늘렸습니다. UN 산하 기구인 국제식품규격위원회(CAC)는 이를 토대로 식품첨가물의 일반적인 사용 기준(GSFA)에서 식품군에 대한 사카린의 사용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1999년 국제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사카린을 발암 물질 항목에서 제외시켰으며 2000년 미국 독성학 프로그램(NTP)도 같은 조치를 취하였습니다. 같은 해 미국 FDA는 즉시 발암성 가능 문구를 담은 라벨링 의무 조항을 철폐하였습니다. 2010년 미국 환경보호청(EPA)도 사카린을 인체와 환경 유해 물질 항목에서 삭제함으로써 그나마 남아 있었던 시빗거리 마저 없어졌습니다. 
 
 

 


 사카린의 안전성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든 계층을 대상으로 내려진 결론입니다. 임신부 뿐만 아니라 수유 중인 여성, 심지어 2대에 걸친 영향까지 연구 방법을 동원하여 검증하였으나 무해하다는  판명이 났습니다.

날로 심각해져 가는 소아 청소년 비만의 주 원인으로 고 칼로리 식품 섭취와 운동 부족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사카린은 제로 칼로리이며 섭취 후 인체에 흡수되지 않고 몸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비만 관리와 당뇨에 효과가 있다는 것은 이미 입증된 사실입니다. 따라서, 어린이 기호 식품의 칼로리를 낮추기 위해서는 사카린이  대체 감미료로서 좋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