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의 이야기

10월 9일이 한글날인 이유?

10월 9일이 한글날인 이유?

대한민국에서 10월 9일은 한글날입니다. 북한에서는 한글을 훈민정음이라는 표현을 그대로 쓰고 있는데요. 훈민정음의 의미를 되새기기 위해 남북이 각기 다른 날을 정해 기념하고 있는 세계적으로도 과학적인 문자로 인정받고 있는 훈민정음. 글자 구성이 체계적이고 배우기도 쉬워서 유네스코에서도 ‘훈민정음 해례본’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했습니다. 훈민정음의 우수성을 알리고 그 뜻을 기리기 위해 한국에서는 10월 9일을 한글날로 정하고 해마다 기념행사를 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근거에서 10월 9일을 한글날로 정했을까요? 그것은 1446년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

한 날을 기념하는 것입니다.훈민정음 해례’에 따르면 훈민정음은 서기 1443년 12월 창제됐으며, 1446년 9월 상순 반포됐습니다. 이를 양력으로 환산하면 창제는 1444년 1월, 반포는 1446년 10월이 됩니다.반면에 북한에서는 1월 15일이 남한의 한글날과 비슷한 날입니다. 북한은 광복 후 적어도 1961년까지는 1월 9일을 훈민정음 창제일로 지켜오다가 1963년부터 1월 15일로 변경했습니다.날짜 변경과 관련해서는 뚜렷한 이유를 밝히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김일성 주석이 항일투쟁시절 창간했다는 신문 ‘소년’의 창간일(1928.1.15)에 맞추려는 의도가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북한은 남한이 한글날로 기념하고 있는 훈민정음 반포일에 대해선 별다른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있습니다.북한에서 훈민정음 창제일은 지난 66년 5월 등장한 문화어(표준어)의 우수성을 선전하는 데 이용됐습니다.북한은 5주년이나 10주년 등으로 ‘꺾어지는 해’에는 평양에서 훈민정음의 우수성을 기념하는 보고회 정도를 열고 있다고 탈북자들은 말합니다.

 

 

 

한글날과 조선글날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날이다. 대한민국에서는 10월 9일[1]을 "한글날"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1월 15일을 "조선글날"로 기념한다. 한글날이 대한민국에서는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날"이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의미가 조금 다르다. 이를테면 김일성선집에 따르면 "조선글은 인민이 과학적인 글자를 만들었다"는 언급만 있을 뿐 세종대왕에 대한 명백한 언급은 없다. 이 날에 대한민국에서는 대한민국의 국기인 태극기를 단다.

 


훈민정음 언해
《세종실록》에는 1446년(세종 28년) 음력 9월에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으로 쓰여 있다. 이를 근거로 1926년 지금 한글 학회의 전신인 조선어연구회와 신민사가 당시 음력 9월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29일(양력 11월 4일)에 훈민정음 반포 여덟 회갑(480년)를 기념하는 행사를 가지고, 이 날을 ‘가갸글’이라는 당시 한글의 이름에 따라 제1회 ‘가갸날’으로 불렀다. 국어학자인 주시경이 ‘한글’이라는 이름을 지어준 뒤인 1928년 ‘한글날’로 이름을 바꾸었다.

1931년 또는 1932년부터 양력인 그레고리오력으로 당시 날짜를 환산한 10월 29일에 지내게 되었다. 한글연구단체인 조선어학회 회원이었던 국어학자 이희승과 이극로는 이를 1932년부터라고 기록하고 있지만, 1931년부터 양력으로 지내게 되었다는 신문 기사도 있다. 1934년부터는 전문가들의 의견대로 1582년 이전에 율리우스력을 썼던 것으로 가정하여 계산한 10월 28일에 지내었다.

1940년에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었다. 이에 따르면 훈민정음은 9월 상순에 책으로 펴냈다고 되어 있는데, 1446년 9월 상순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10일을 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하면 10월 9일이 된다. 1945년 8.15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10월 9일[1]을 한글날로 제정하고 공휴일로 만들었다.

1991년 공휴일이 너무 많아 경제 발전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로 한글날은 국군의 날과 함께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 그 뒤로 한글 학회 등 한글 단체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다시 제정하자는 운동을 하였고 2013년 다시 공휴일이 되었다. 국회 문화관광위원회는 2005년 10월 5일 ‘한글날 국경일 지정 촉구 결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국회 행정자치위원회는 2005년 11월 30일 법안심사 소위를 열어 한글날을 국경일로 승격시키는 내용의 ‘국경일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 개정안은 2005년 12월 8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되었다. 그러나 국경일 휴무 여부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돼있어, 국경일 지정이 곧바로 공휴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2] 그래서 한글날은 국경일이면서 쉬지 않는 날이 되었다. 때문에 일부에서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지정하라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한글날의 기념일 주관 부서인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재지정하는 방안을 2009년에 이어 다시 추진하였으며,[3] 정치권에서는 민주당이 어버이날과 함께 한글날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내용의 공휴일에 관한 법률을 발의했고,[4] 한글학회, 한글문화연대 등 시민단체의 연합체인 한글날 공휴일 추진 범국민연합은 한글날을 앞두고 국민청원서를 제청하기도 하였다. [5] 2012년 11월 7일 한글날을 다시 공휴일으로 지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관련 규정의 일부 개정안이 입법 예고되고, 법률 절차를 거쳐 2012년 12월 24일, 국무회의에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령안이 통과됨에 따라 2013년부터 다시 공휴일이 되었다.

<훈민정음> 국보 제 70호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그 문자(한자)와 서로 통하지 않으므로 이런 까닭에 어리석은 백성이 이르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그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불쌍히 여겨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들었으니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익혀 날로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훈민정음 언해》 서문
 

"그는 족보로 된 임금이 아니다. 전주 이씨의 임금이 아니라 하늘이 낸 임금이었다. 그가 정음을 짓고 모든 책의 언해를 만든 것은 모두 민중을 위한 것이었다. 정말 민족 걱정을 한 이요, 정말 인생 걱정을 한 이다. 어쩌면 그런 어진 마음이 이 역사에도 났을까? 공자가 관중의 역사적 공로를 칭찬하여 "이 사람이 아니었다면 내가 오랑캐가 되었을 것이야!" 하였다지만, 오늘 우리야말로 이 사람이 아니고 그냥 짜 먹자는 그 놈들만이 있었다면 정말 짐승을 면치 못했을 것이다." - 함석헌

 

<세종대왕>그분 누구신가?